10.27불교 법난 회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 관리자 작성일13-11-14 17:10 조회4,387회 댓글0건본문
10. 27 법란이란?
제5공화국 출범을 앞두고 정권을 장악하던 신군부가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불교를 탄압한, 현대 한국불교 최대의 치욕적인 사건입니다. 1980년 10월 27일 새벽,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의 지시에 의하여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산하 합동수사단이 군인과 경찰 3만 2천녀 명을 동원하여 전국의 사찰 5,731곳을 압수.수색하고 2천여 명의 스님과 신도들을 감금 또는 연행하였으며, 일부 스님과 신도들은 고문을 비롯한 가혹 행위를 당했습니다. 또한, 당시 국가는 언론에 조작된 사실을 유포하며 마치 한국불교가 사회악인양 매도하였고 이로 인하여 많은 불자들이 타종교로 개종하는 등 한국불교에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10.27법난 명예회복 및 피해보상 경과
우리 종단은 1986년 9월 해인사에서 전국승려대회를 개최하였고, 1988년 11월 16일 원로스님 중심으로 ‘10.27법난 진상규명 추진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지속적으로 정부에 진상규명과 공식사과를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1988년 12월 30일 강영훈 국무총리가 10.27법난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 담화문과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한바 있습니다.
그 후 2003년 2월 16일 MBC시사프로그램 “이제는 말할 수 있다”가 ‘10.27법난의 진실’ 편을 방영함으로써 국민들에게 10.27법난의 진실이 일부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2005년 8월 18일 ‘10.27법난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진상규명 활동을 전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추진하였으며, 2008년 2월 28일 국회가 ‘10.27법난 피해자의 명예회복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되어 국가 차원에서 명예회복을 진행하게 되는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최근의 10.27법난 진상규명과 명예획복의 전개
10.27법난 관련 법률과 시행령의 제정.공포에 따라 ‘10.27법난피해자명예획복심의위원회’가 설치되어 피해자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 종단은 당시 우리 종단 소속 스님 9,796명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피해자 신고 및 명예획복 신청을 하고, 10.27법난 역사교육관 건립 예산을 국가예산에 반영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관련 법률의 미비로 인하여 명예회복과 피해보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지난 5월 22일 법률개정을 통해 법난심의위원회활동기간이 2016년 6월 30일로 연장되었고 피해자 심사기간이 2015년 6월 30일가지 연장되었습니다. 또한, 소관부처가 국방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로 변경되었습니다. 지난 10월 기념법회를 시작으로 대학생들과 함께 하는 인문학 강좌, 다큐 제작 그리고 오늘 제주를 시작으로 대도시 순회 법회를 진행하여 10.27법난에 대해 알리고 사부대중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 할 계획입니다.
<1980년도 10.27 불교 법난의 회고>
① 국내정세
1960 - 4. 19혁명
1961 - 5. 16 군사혁명
1972 - 유신헌법선포
1974 - 지학순주교 공항연행
- 민청학련사건
- 인혁당사건
- 8. 15 육영수여사 서거
1979 - 8. 9 Y.H사건 무역여성노동자
- 10. 18 부산/마산시 비상계엄
- 10. 26 청와대 궁정동사태
- 11. 24 명동 YWCA 위장결혼
- 12. 12 구테타(군부)
1980 - 5. 18 광주항쟁
- 5. 24 김재규 교수형
- 10. 27 불교법난
- 10. 31 전국 3,000 사찰수배
② 불교 교단상황
1. 조계사, 개운사 대립(총무원)
2. 종정(이서옹)큰스님 테러 - D,S스님
3. 총무원(조계사 화재미수) - S,Y스님
4. 종권다툼 심화
5. 각종투서 - 모함
6. 교단 정화능력 상실
7. 신도 개종탈퇴(천주교, 기독교)
8. 승려 파렴치범 집단
③ 군부세력 장악
1. 하나회 중심(군부)
2. 군법사, 군법무관, 문체부직원, 경찰정 보, 기무사, 보안사, 검찰정보, 읍면동정보
3. 일부 불교계 정치인사.
4. 국가 사회정화 차원
5. 불순분자 색출(산속은거)
6. 45계획 실행
④ 중요사찰 주지연행
1. 총무원장(월주)외 중요 종단간부 연행
2. 교구본사주지(대표), 교구본사총무(인사), 교구본사재무(재정) 연행
3. 중요 사찰주지(도선사, 보문사, 낙산사, 상원사등)
4. 중요 불교계 신도대표
⑤ 연행 조사방법
1. 연행조사(기무사 - 경찰서)
2. 자술서 강요 - 출가이유
3. 삼청교육대 - 승적체탈 압력
4. 통장, 소지품(공금, 사금), 시계, 카메라등 압수
5. 간첩 고문 독방(유리창)
6. 물고문, 연필 돌리기, 고춧가루, 서치라 이트고문, 잠안재우기, 야구방망이, 몽 둥이
⑥ 불교의 자주화
1. 수행중심 - 중생제도 - 대사회적 역할
2. 교단화합 - 사자신중충
3. 종권 다툼의 승려정화
4. 승단의 자정화와 쇄신
5. 국가권력의 견제(공권력)
⑦ 향후 불교계 대책
1. 역사는 되풀이 된다
2. 승단에서 10. 27진상을 몇 %나
알고 있는가?
3. 잊혀져가는 역사(젊은이들, 학인스님등)
4. 다큐멘터리 영화제작 홍보
5. 다큐멘터리 연극공연 홍보
6. 역사의 승계와 각오
⑧ 명예회복과 손해배상?
1. 1.500억원 요구(국민1인당 만원 1,500 만명)
2. 200억원 미집행 반납(국방부)
3.영담스님(총무부장)-지현스님(총무부장)- 정만스님(위원장)
4. 국방부관할에서 문화체육부관할로 변경
5. 법규시한 3년 연장 국회통과 - (2016 년까지)
6. 손해배상 승려 약9,000명 중 약3,000명 잔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