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단오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6-15 09:18 조회1,451회 댓글0건본문
여성들이 개울가에서 머리를 감고,
그 옆에서 그네를 타는 풍광을 그린
신윤복의 ‘단오풍정’이
당시 풍습을 잘 보여준다.
창포의 잎과 뿌리는
독특한 향을 지녀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창포 뿌리를 깎아 만든 비녀인
‘창포잠(菖蒲簪)’은
역병을 물리치려는 액땜으로
부녀자들이 즐겨 꽂았다.
인조는 창덕궁 후원의 가장 안쪽인
옥류천 권역을 조성하고
큰 바위 소요암에 어필로
‘玉流川(옥류천)’이라는 글자를 새겼다.
그 앞에는 포석정처럼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할 수 있도록
얕은 물길을 내고 작은 폭포를 만들었다.
그곳에서 신하들과 술잔을 주고받으며
풍류를 즐겼던 인조.
그해 겨울, 청 황제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굴욕적인 항복을 해야만 했던 인조는
그 후 신하가 청하는 창포주를 거절하였다.
조선시대 주요 명절이었던 단오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의미가 축소되었다.
강릉과 영광에서는
잊혀 가는 단오제를 오랫동안 지켜왔는데,
강릉단오제는 2005년 11월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돼
그 명맥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